맨위로가기

제7군 (미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7군(Seventh United States Army)은 미국 육군의 야전군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럽 전선에서 활약했으며, 냉전 기간 동안에는 서독에 주둔하며 소련의 위협에 대비했다. 1942년 제1기갑군단으로 시작하여, 조지 S. 패튼 장군의 지휘 아래 시칠리아, 이탈리아, 프랑스 남부, 독일 등에서 전투를 수행했다. 냉전 시기에는 독일 슈투트가르트에 재창설되어 미국 유럽 육군의 육군 부대를 지휘했으며, 1990년대 이후 해체와 재편성을 거쳐 현재는 미국 유럽 육군에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야전군 - 제1군 (미국)
    제1군 (미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유럽 전선 참전, 훈련 부대 임무 수행 등을 거쳐 현재는 훈련 및 지원 임무를 수행하며 동부 및 서부 사단으로 나뉘어 훈련 여단을 운영한다.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야전군 - 제9군 (미국)
    제9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럽 전선에서 독일군 격퇴에 기여한 미국 육군의 야전군으로, 종전 후 해체되었다가 미국 아프리카 육군으로 재편성되어 혈통을 이었으나, 이후 미국 유럽 육군과 통합되어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으로 개편되었다.
  • 미국의 야전군 - 제8군 (미국)
    제8군은 1944년 창설되어 태평양 전선, 일본 점령,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현재 대한민국에 주둔하며 주한 미군의 육군 구성군 사령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미국의 야전군 - 제1군 (미국)
    제1군 (미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유럽 전선 참전, 훈련 부대 임무 수행 등을 거쳐 현재는 훈련 및 지원 임무를 수행하며 동부 및 서부 사단으로 나뉘어 훈련 여단을 운영한다.
  • 지중해 전구 (제2차 세계 대전) - 데켐브리아나
    데켐브리아나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아테네에서 그리스 인민해방군을 주축으로 한 좌익 세력과 영국군 및 그리스 정부군 간에 벌어진 시가전으로, 저항 세력의 무장 해제를 둘러싼 갈등이 격화되면서 발발하여 그리스 내전의 서막을 알렸다.
  • 지중해 전구 (제2차 세계 대전) - 제2차 세계 대전 중 지브롤터의 군사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중 지브롤터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연합군의 군사 기지 역할을 했으며, 민간인 대피, 추축국의 공격 위협, 횃불 작전 기지 활용 등의 사건을 겪었다.
제7군 (미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정보
이름미국 제7군
원어 이름Seventh United States Army
약칭SUSA
표어Pyramid of Power (힘의 피라미드)
색상흰색과 빨간색
활동 기간
해체2010년 4월 17일
종류야전군
역할본부
식별 표식
제7군 SSI
견장 소매 휘장
제7군 DUI
고유 부대 휘장
제7군 깃발
군기
지휘관
주요 지휘관조지 S. 패튼
마크 W. 클라크
알렉산더 패치
참전
전투/작전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구
시칠리아 침공
로마-아르노
남부 프랑스
라인란트
아르덴-알자스
중부 유럽
냉전

2. 역사

1940년 7월 15일, 전쟁부는 제1기갑군단을 창설하고 에드나 R. 채프 Jr. 소장을 군단장으로 임명했다. 1942년 1월 15일 조지 S. 패튼 소장이 군단장에 임명되었고, 제1기갑군단은 횃불 작전을 위한 전술 위장으로서 일시적으로 웨스턴 태스크 포스(Western Task Force영어)로 개명되었다가 1943년 1월 9일 다시 제1기갑군단으로 돌아왔다.[5]

1943년 3월, 캐서린 고개 전투에서 패배 후, 조지 패튼 중장은 오마르 브래들리 LTG에게 제2군단을 넘기고 제1기갑군단으로 돌아왔다. 6월 23일, 제7군 어깨 소매 인식표를 부여받고[7], 허스키 작전 작전개시일인 7월 10일에 시칠리아 해변에서 제7군으로 재편성되었다.[8]

이후 9개월도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제7군은 1,000마일 이상 진격했으며, 제3, 제36, 제42, 제44, 제45, 제63, 제70, 제100, 제103 사단을 포함하여 다양한 기간 동안 24개의 미국 및 연합군 사단을 지휘했다.

냉전 초기인 1950년 11월 24일, 제7군은 정규군으로 배정받고 독일 파이힝겐에서 다시 소집되었다.[7]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제7군 심포니 오케스트라는 문화 외교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4]

1966년 프랑스NATO 군사 통합 기구에서 탈퇴하면서, 프랑스에 주둔하던 모든 NATO 군대가 독일로 이동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제7군 본부도 하이델베르크로 옮겨졌다.[7] 1967년 1월 9일, 미국 육군부의 명령에 따라 미국 유럽 육군과 제7군의 참모진이 통합되어 '미국 유럽 육군 및 제7군, 본부 및 본부중대'가 되었다.

1968년부터는 독일에 주둔하던 많은 부대가 REFORGER 연습(Return of Forces from Germany|독일로부터의 병력 복귀영어)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 연습은 유사시 본토에 주둔하던 병력이 유럽으로 신속하게 전개하는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REFORGER 연습은 독일의 재통일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해체(1991년)가 이루어진 후인 1993년까지 연례 FTX로서 실시되었다.

1968년 10월 28일, 제7군은 고유 부대 인식표를 수여받았다.[7]

1992년 3월 18일, 제7군단이 유럽을 떠나 미국 본토로 돌아가 포트 맥퍼슨에서 해산되었다. 2010년 4월 17일, 제7군 본부 및 본부 중대는 미국 유럽 육군에 합병되어 '미국 유럽 육군, 본부 및 본부대대'로 재편성되었다. 이듬해인 2011년 1월 21일, 미국 유럽 육군에서 제7군의 모든 명칭이 분리되었다.[7][9]

2. 1. 제2차 세계 대전

1940년 7월 15일, 전쟁부는 제1기갑군단을 창설하고 에드나 R. 채프 Jr. 소장을 군단장으로 임명했다. 1942년 1월 15일 조지 S. 패튼 소장이 군단장에 임명되었고, 제1기갑군단은 횃불 작전을 위한 전술 위장으로서 일시적으로 웨스턴 태스크 포스(Western Task Force영어)로 개명되었다가 1943년 1월 9일 다시 제1기갑군단으로 돌아왔다.[5]

1943년 3월, 캐서린 고개 전투에서 패배 후, 조지 패튼 중장은 오마르 브래들리 LTG에게 제2군단을 넘기고 제1기갑군단으로 돌아왔다. 6월 23일, 제7군 어깨 소매 인식표를 부여받고[7], 허스키 작전 작전개시일인 7월 10일에 시칠리아 해변에서 제7군으로 재편성되었다.[8]

제7군은 제15군집단의 미국측 야전군으로서 영국 제8군과 함께 제2군단과 임시군단을 이끌고 시칠리아에 상륙하였다.[8] 7월 22일, 시칠리아 남부에 상륙하여 팔레르모로 본부를 옮겼고, 8월 16일에는 영국 제8군과 같이 메시나를 점령하였다.

이후 9개월도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제7군은 1,000마일 이상 진격했으며, 제3, 제36, 제42, 제44, 제45, 제63, 제70, 제100, 제103 사단을 포함하여 다양한 기간 동안 24개의 미국 및 연합군 사단을 지휘했다.


2. 1. 1. 북아프리카 전역

1942년 조지 S. 패튼 소장의 지휘 아래 횃불 작전에 참가하여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추축군을 격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43년 3월 캐서린 고개 전투에서의 패배는 미군에게 귀중한 교훈을 안겨주었으며, 이후 패튼 장군의 지휘 아래 전력을 재정비하여 반격의 기틀을 마련했다.[6][7]

1942년 11월 8일, 패튼 장군은 서부 기동 부대(제1 기갑군단의 임시 명칭)를 이끌고 프랑스령 북아프리카 침공 작전인 횃불 작전에 참여하여 카사블랑카 근처에 상륙했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군의 북아프리카 상륙 작전 중 유일하게 전원 미국군으로 구성된 부대였다. 이후 제1기갑군단은 동쪽으로 진격하여 서쪽에서 진격해오는 영국군과 협력, 추축국 군대를 튀니지에 포위하고 1943년 5월 항복을 받아냈다.[5]

2. 1. 2. 시칠리아 및 이탈리아

1943년 6월/7월 시칠리아로 향하는 SS 몬로비아에 탑승한 패튼 중장의 제7군 참모의 모습.


1943년 7월 10일, 패튼 중장이 지휘하는 제7군은 허스키 작전에서 영국 제8군과 함께 시칠리아 남부에 상륙했다. 제7군은 7월 22일 시칠리아의 수도 팔레르모를 점령하고, 8월 16일에는 영국 제8군과 함께 메시나를 점령했다.[1] 이 과정에서 제7군은 수천 명의 적군을 사살하거나 포로로 잡았다. 제7군과 제8군은 해롤드 알렉산더 장군 휘하의 제15군 집단의 지휘를 받았다.[1] 제7군 사령부는 1944년 1월까지 알제와 시칠리아 팔레르모에 있다가, 마크 W. 클라크 중장이 사령관으로 임명되면서 남부 프랑스 침공을 계획하기 시작했다.[1]

2. 1. 3. 프랑스, 독일, 그리고 다시 이탈리아

1944년 3월, 알렉산더 패치 소장이 제7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제7군은 이탈리아 나폴리로 이동했다. 드라군 작전에 따라 1944년 8월 15일, 제7군은 생트로페생라파엘 지역의 프랑스 남부 해안을 공격했다.[3] 1944년 9월 15일, 제7군은 제이콥 L. 데버스 중장이 지휘하는 제6군집단에 배속되었는데, 여기에는 제1 프랑스군도 포함되어 있었다. 한 달 안에 제7군은 북쪽으로 400마일 진격하여 파리에서 라인강으로의 연합군 진격에서 노르망디에서 남쪽으로 진격해 오는 연합군과 합류했다. 이 과정에서 마르세유, 리옹, 툴롱 및 프랑스 남부 전체를 해방시켰다.[3]

이후 제7군은 보주 산맥에서 독일군을 공격하여 알자스 평원으로 돌파했다. 1944년 12월 말 벌지 전투 동안, 조지 패튼 휘하 제3군이 담당했던 지역 대부분을 장악하기 위해 측면을 확장하여 제3군이 바스토뉴에서 포위된 미군을 구출할 수 있도록 했다. 1945년 1월 중순, 제7군은 독일의 작전 노르트빈트 공세로 잃었던 영토를 되찾기 위해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제7군은 제1 프랑스군과 함께 1945년 2월 공세로 전환하여 콜마르 포켓을 제거했다. 스트라스부르를 점령한 후, 제7군은 자르로 진격하여 지크프리트 선을 공격하고, 1945년 3월 첫째 주에 라인강에 도달했다.[3]

언더톤 작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제7군은 라인강을 건너 독일로 진격하여 뉘른베르크뮌헨을 점령했다. 마지막으로 브레너 고개를 넘어 비피테노에서 루시안 트러스콧 중장의 미 제5군과 합류하며 다시 한 번 이탈리아 땅을 밟았다.[3]

2. 2. 냉전

냉전 초기인 1950년 11월 24일, 제7군은 정규군으로 배정받고 독일 파이힝겐에서 다시 소집되었다.[7]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제7군 심포니 오케스트라는 문화 외교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4]

1966년 프랑스NATO 군사 통합 기구에서 탈퇴하면서, 프랑스에 주둔하던 모든 NATO 군대가 독일로 이동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제7군 본부도 하이델베르크로 옮겨졌다.[7] 1967년 1월 9일, 미국 육군부의 명령에 따라 미국 유럽 육군과 제7군의 참모진이 통합되어 '미국 유럽 육군 및 제7군, 본부 및 본부중대'가 되었다.

1968년부터는 독일에 주둔하던 많은 부대가 REFORGER 연습(Return of Forces from Germany|독일로부터의 병력 복귀영어)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 연습은 유사시 본토에 주둔하던 병력이 유럽으로 신속하게 전개하는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REFORGER 연습은 독일의 재통일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해체(1991년)가 이루어진 후인 1993년까지 연례 FTX로서 실시되었다.

1968년 10월 28일, 제7군은 고유 부대 인식표를 수여받았다.[7]

1992년 3월 18일, 제7군단이 유럽을 떠나 미국 본토로 돌아가 포트 맥퍼슨에서 해산되었다. 2010년 4월 17일, 제7군 본부 및 본부 중대는 미국 유럽 육군에 합병되어 '미국 유럽 육군, 본부 및 본부대대'로 재편성되었다. 이듬해인 2011년 1월 21일, 미국 유럽 육군에서 제7군의 모든 명칭이 분리되었다.[7][9]

3. 부대

제7군은 제2차 세계 대전냉전 기간 동안 다양한 부대를 예하에 두었다. 1952년 1월 31일 기준 제7군의 주요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1]

부대
제7군 포병대
제34대항공기포병여단
제12대항공기포병단
제242대항공기포병단
제8대항공기포병단
제7군 공병대
제11공병전투단
제403공병기지창
제555공병전투단
제7군 특수병력대
제2병참단
제7병참단
제10수송단 (고속도로)
제47병기단
제50병기단
제1화학대대
제451화학대대 (화학연막생성)
제40통신건설대대
제97통신작전대대
제315통신건설대대
제175헌병대대
제532헌병근무대대
제31의무단
제95의무단
제5(V)군단
제5군단 포병대
제1보병사단
제2기갑사단
제4보병사단
제2기갑기병연대
제14기갑기병연대
제15경찰전대
제24경찰전대
제371기갑보병대대
제373기갑보병대대
제37공병전투단
제322통신대대
제38수송대대
제122수송대대
제36의무대대
제7(VII)군단
제7군단 포병대
제28보병사단
제43보병사단
제6기갑기병연대
제321통신대대
제115공병전투단
제211의무대대



이 외에도, 제7군은 제6(VI) 군단(1945~1946년, 해산), 제13(XIII)군단(시기불명, 해산), 제19(XIX)군단(1945년 6월 15일~7월 20일, 해산), 제21(XXI)군단(1945년 1월 13일~?, 2월 16일~?), 제23(XXIII)군단(시기불명, 해산), 제25(XXIII)군단(1944년 9월 29일~1945년 5월 8일, VE 데이 해산), 제3기갑기병연대(?~1968년), 제302통신대대(시기불명) 등 다양한 부대를 예하에 두었다.

제7군 본부에는 본부중대, 제7877부대/항공정찰지원중대, 항공훈련소, 부사관학교, 장병 합창단, 심포니 오케스트라단, 제7군 합동다국적훈련사령부(1976년 7월 1일~현재), 제10특전단(1950~1968년, 1대대만 남고 본토 귀환)이 있었다.

제7군 특수병력본부(1943년 7월 10일~1965년 9월 25일) 예하에는 군악대, 제5심리전중대(L&L), 제14항공중대(ATC), 제19th Met 파견대, 제30군무부대(우편), 제36군무부대(MR), 제60항공중대, 제85수송중대(차량), 제427방첩파견대, 제500공병파견대(Util)가 있었다.

제7군 군수본부 예하에는 제7군 지원사령부(1958~1970년), 비축물통제소, 재고통제소가 있었다. 제7군 예비군사령부는 1956년부터 현재까지 존속하고 있다.

제5군단은 1952년부터 2013년 9월 15일까지, 제7군단은 1952년부터 1992년 4월까지 제7군 예하 부대로 활동했다.

3. 1. 제1기갑군단 시절

1940년 7월 15일, 전쟁부는 에드나 R. 채프 Jr. 소장을 군단장으로 임명하여 포트 녹스에서 "제1기갑군단(1(I) Armored Corps영어)"을 창설하였다. 그해 11월, 채프 Jr. 소장은 건강 문제로 퇴역하였고 찰스 L. 스콧트 소장이 후임 군단장이 되었다. 11월 20일에는 어깨 소매 인식표를 부여받았다.[5]

1942년 1월 15일, 조지 S. 패튼 소장이 군단장에 임명되었고, 같은 달에 본부가 조지아주 포트 배닝으로 옮겨졌다. 3월 26일, 패튼 장군은 군단을 북아프리카 전역에 전개하기 위해 남부 캘리포니아주와 서부 애리조나주 사이의 모하비 사막에 캠프 영과 사막훈련소를 세웠다. 그곳에서 4월 10일부터 4월 30일까지 사막 적응 훈련을 실시했다.[6]

1942년 9월 11일, 제1기갑군단은 횃불 작전을 위한 전술 위장으로 웨스턴 태스크 포스(Western Task Force영어)로 일시 개명되었다. 작전 개시일인 11월 8일 카사블랑카 근처에 상륙하였고, 1943년 1월 9일 전술 위장을 끝내고 제1기갑군단으로 복귀했다. 이후 조지 패튼 소장은 제2군단장으로 임명되었다.

1943년 3월 4일, 롤로이드 프리덴달 소장이 제1기갑군단장에 새로 임명되었으나, 캐서린 고개 전투에서 패배하여 경질되었다. 4월 15일, 조지 패튼 중장은 오마르 넬슨 브레들리 LTG에게 제2군단을 넘기고 제1기갑군단장으로 복귀했다. 6월 23일, 제7군 어깨 소매 인식표를 부여받고,[7] 허스키 작전에 참가하여 작전개시일인 7월 10일에 시칠리아 해변에서 제7군으로 재편성되었다. 제15군집단의 미국측 야전군으로서 영국 제8군과 함께 제2군단과 임시군단을 이끌고 시칠리아에 상륙하였다.[8]

제1기갑군단 시절에는 제3보병사단(1943년 2월 1일 ~ 7월 15일), 제9보병사단(1943년 3월), 제2기갑사단 등이 예하 부대로 활약했다.

3. 2. 제7군 시절

냉전 초기인 1950년 11월 24일, 제7군은 독일 파이힝엔에서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 1966년 프랑스가 나토에서 탈퇴하면서 프랑스에 있던 모든 나토군이 독일로 이동했고, 제7군 본부도 하이델베르크로 옮겨졌다.[7]

1967년 1월 9일, 육군부 명령에 따라 미국 유럽 육군과 제7군의 참모진이 통합되어 '미국 유럽 육군 및 제7군, 본부 및 본부중대'가 되었다. 1968년부터는 REFORGER 연습(독일로부터의 병력 복귀)이 시작되어, 유사시 유럽에 신속하게 병력을 전개하는 훈련이 1993년까지 매년 실시되었다. 이 연습은 독일의 재통일바르샤바 조약 기구 해체 때까지 이어졌다.

1968년 10월 28일, 제7군은 고유 부대 인식표를 받았다.[7]

제7군은 제2군단, 제5군단, 제7군단 등 여러 군단급 부대를 지휘하며 유럽 방어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제7군 합동다국적훈련사령부(JMTC)를 통해 연합군과의 합동 훈련을 강화하고 상호 운용성을 높였다. 또한, 제7군 예비군사령부를 통해 예비 전력을 관리하고, 유사시 신속한 증원을 가능하게 했다.

1992년 3월 18일, 제7군단이 유럽을 떠나 미국 본토로 돌아가 포트 맥퍼슨에서 해산되었다.

2015년 6월 25일에 촬영된 JMTC 간판

3. 2. 1. 1952년 1월 31일 기준

wikitext

부대
제7군 포병대
제34대항공기포병여단
제12대항공기포병단
제242대항공기포병단
제8대항공기포병단
제7군 공병대
제11공병전투단
제403공병기지창
제555공병전투단
제7군 특수병력대
제2병참단
제7병참단
제10수송단 (고속도로)
제47병기단
제50병기단
제1화학대대
제451화학대대 (화학연막생성)
제40통신건설대대
제97통신작전대대
제315통신건설대대
제175헌병대대
제532헌병근무대대
제31의무단
제95의무단
제5(V)군단
제5군단 포병대
제1보병사단
제2기갑사단
제4보병사단
제2기갑기병연대
제14기갑기병연대
제15경찰전대
제24경찰전대
제371기갑보병대대
제373기갑보병대대
제37공병전투단
제322통신대대
제38수송대대
제122수송대대
제36의무대대
제7(VII)군단
제7군단 포병대
제28보병사단
제43보병사단
제6기갑기병연대
제321통신대대
제115공병전투단
제211의무대대



4. 역대 사령관

제7군의 역대 사령관은 다음과 같다.

역대 사령관
#사진성명취임일이임일
1
George S. Patton|조지 S. 패튼영어 중장1943년 7월 10일1944년 1월 1일
2
Mark W. Clark|마크 W. 클라크영어 중장1944년 1월 1일1944년 3월 2일
3
Alexander Patch|알렉산더 패치영어 중장1944년 3월 2일1945년 6월 2일
4
Wade H. Haislip|웨이드 H. 헤이슬립영어 중장1945년 6월 2일1945년 8월
5
Geoffrey Keyes|제프리 키스영어 중장1945년 9월 8일1946년 3월 31일 (해산)
6
Oscar Griswold|오스카 그리즐드영어 중장1946년 6월 11일1947년 3월 15일 (해산)
7
Menton S. Eddy|만톤 S. 에디영어 중장1950년1952년
8
Charles L. Bolte|찰스 볼테영어 중장1952년1953년
9
William M. Hoge|윌리엄 M. 호지영어 중장1953년1953년
10
Anthony C. McAuliffe|앤서니 C. 맥오리프영어 중장1953년1954년
11
Henry I. Hodes|헨리 I. 호데스영어 중장1954년1956년
12
Bruce C. Clarke|브루스 C. 클라크영어 중장1956년1958년
13
Clyde Davis Eddleman|클라이드 D. 에들먼영어 중장1958년1959년
14
Francis W. Farrell|프랜시스 윌리엄 파렐영어 중장1959년1960년
15
Garrison H. Davidson|개리슨 H. 데이비슨영어 중장1960년1962년
16--John C. Oakes|존 코그스웰 오크스영어 중장1962년1963년
17
Hugh P. Harris|휴 P. 해리스영어 중장1963년1964년
18
William W. Quinn|윌리엄 W. 퀸영어 중장1964년1966년
19Andrew P. O'Meara|앤드루 P. 오메라영어 대장1966년 3월 1일1967년 6월 1일
20James H. Polk|제임스 H. 폴크영어 대장1967년 6월 1일1971년 3월 20일
21Arthur S. Collins Jr.|아서 S. 콜린스 주니어영어 중장 (권한대행)1971년 3월 20일1971년 5월 26일
22Michael S. Davison|마이클 S. 데이비슨영어 대장1971년 5월 26일1975년 6월 29일
23George S. Blanchard|조지 S. 블랜차드영어 대장1975년 6월 30일1979년 5월 29일
24Frederick J. Kroesen Jr.|프레데릭 J. 크로이센 주니어영어 대장1979년 5월 29일1983년 4월 15일
25Glenn K. Otis|글렌 K. 오티스영어 대장1983년 4월 15일1988년 6월 23일
26Crosbie E. Saint|크로스비 E. 세인트영어 대장1988년 6월 24일1992년 7월 9일
27David M. Maddox|데이비드 M. 매독스영어 대장1992년 7월 9일1994년 12월 19일
28William W. Crouch|윌리엄 W. 크라우치영어 대장1994년 12월 19일1997년 8월 5일
29Eric K. Shinseki|에릭 K. 신세키영어 대장1997년 8월 5일1998년 11월 10일
30Montgomery Meigs|몽고메리 메이그스영어 대장1998년 11월 10일2002년 12월 3일
31Burwell B. Bell III|벌웰 B. 벨 3세영어 대장2002년 12월 3일2005년 12월 14일
32David D. McKiernan|데이비드 D. 맥키어넌영어 대장2002년 12월 3일2008년 5월 2일
33Gary D. Speer|게리 D. 스피어영어 중장 (권한대행)2008년 5월 2일2008년 8월 28일
34Carter F. Ham|카터 F. 햄영어 대장2008년 8월 28일2010년 4월 17일



1966년부터 제7군 사령관은 미국 유럽 육군 사령관을 겸임했다.

4. 1. 제1기갑군단장

(에드나 R. 채프 Jr.)1940년 7월 15일1940년 11월2
Charles L. Scott영어
(찰스 L. 스콧트)1940년 11월1942년 1월 14일3
George S. Patton영어
(조지 S. 패튼)1942년 1월 15일1943년 3월 3일4
Lloyd fredendall영어
(롤로이드 프리덴달)1943년 3월 4일1943년 4월 15일5George S. Patton영어
(조지 S. 패튼)1943년 4월 15일1943년 7월 9일



조지 S. 패튼은 탁월한 군사적 능력으로 연합군의 승리에 기여했지만, 독단적인 성격과 잦은 구설수로 비판받기도 했다.[5][6][7][8]

4. 2. 제7군 사령관

제7군 사령관 (Commander-in-Chief, Seventh United States Army영어)
#사진성명취임일이임일
1]]George S. Patton|조지 S. 패튼영어 중장1943년 7월 10일1944년 1월
2]]Mark W. Clark|마크 웨인 클라크영어 중장1944년 1월3월
3]]Alexander Patch|알렉산더 패치영어 중장1944년 3월1945년
4]]Wade H. Haislip|웨이드 H. 헤이슬립영어 대장1945년 6월8월
5]]Geoffrey Keyes|제프리 키스영어 대장1945년1946년
6]]Oscar Griswold|오스카 그리스울드영어 대장1946년 6월 11일1947년 3월 15일
7]]Menton S. Eddy|맨톤 S. 에디영어 중장1950년 8월1952년 8월
8]]Charles L. Bolte|찰스 볼테영어 중장1952년 8월1953년 3월
9]]William M. Hoge|윌리엄 M. 호지영어 중장1953년 3월1953년 9월
10]]Anthony C. McAuliffe|앤서니 C. 맥얼리프영어 중장1953년 9월1955년
11]]Henry I. Hodes|헨리 I. 호드스영어 대장1955년 2월 1일1956년 5월 1일
12]]Clyde Davis Eddleman|클라이드 D. 에들먼영어 대장1956년 5월 1일1959년 4월 1일
13]]Bruce C. Clarke|브루스 C. 클라크영어 대장1959년 4월 1일1960년 10월 20일
14]]Garrison H. Davidson|개리슨 H. 데이비슨영어 대장1960년 7월 1일1961년 3월 30일
15]]Francis W. Farrell|프랜시스 윌리엄 파렐영어 대장1961년 4월 1일1962년 3월 30일
16--John C. Oakes|존 코그스웰 오크스영어 중장1962년 4월 1일1963년
17]]Hugh P. Harris|휴 P. 해리스영어 대장1963년1964년
18]]William W. Quinn|윌리엄 W. 퀸영어 대장1964년1966년 2월 30일



1966년부터 제7군 사령관은 미국 유럽 육군 사령관을 겸임했다.

참조

[1] 웹사이트 Fifth Army History • Race to the Alps, Chapter VI : Conclusion http://www.milhist.n[...]
[2] 서적 Armies, Corps, Divisions, and Separate Brigades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1999
[3] 웹사이트 USAREUR Units & Kasernes, 1945–1989 http://www.usarmyger[...] 2018-04-09
[4] 서적 New Music New All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
[5] 웹인용 1st Armored Corps http://www.tioh.hqda[...] 문장학 연구소 2014-06-09
[6] 웹인용 General Patton, World War II Desert Training Center https://www.blm.gov/[...] Califonia Bureau of Land Management 2011-03-25
[7] 웹인용 Seventh US Army http://www.tioh.hqda[...] 문장학 연구소 2014-06-09
[8] 서적 The Macmillan Dictionary of Military Biography https://archive.org/[...] Macmillan Publishers 1998
[9] 간행물 General Orders No. 18 https://armypubs.arm[...] Department of The Army 2006-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